DSU 특집 ‘코로나 19’ 이후 중국 사회의 변화와 전망 미국과 중국의 결별 : 디커플링(Decoupling) 미국 대선과 중국 :미중 신냉전 중국의 코로나 방역 상황과 한중방역협력 방향
중국문화카페 2020, 다시 보는 <중경삼림> 그리고 홍콩의 불안 최근 중국이 ‘홍콩 국가보안법’을 제정하면서 홍콩의 상황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지난 5월 28일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결의되고 6월 30일 전인대상무위원회를 거쳐 속전속결로 제정된 이 법은 이튿날인 7월 1일 시행에 들어갔다. 01 02 03 110년 전 중국 동북지역의 페스트 대유행과 국제공조 코로나 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WHO 공식 명칭 COVID-19)의 확산세가 쉽게 꺾이지 않고 있다. 지난해 겨울 중국 우한(武漢)에서 발생한 코로나 19는 중국 국내는 물론, 동아시아를 비롯하여 세계 전 지역으로 빠르게 전파되었다. 01 02 03 서평: 글로벌 차이나의 유령 – 아프리카 진출 중국 자본의 정치, 노동, 투자 이해의 편의를 위해 최근 30년 간 중국의 경제성장 궤적을 세 단계로 분류해 보자. 우선 1990년대는 중국이 시장경제 시스템을 본격 수용한 시기다. 천안문사태 이후 ‘개혁’ 노선에 대한 갈등이 불거졌지만 1992년 덩샤오핑의 남순강화(南巡講話)는 중국이 ‘개방’에 몰두하도록 방향키를 돌려놓았다. 01 02 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