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 상하이 협력에 대한 제언

중국 상하이는 한국 사람들에게 이미 익숙한 도시이다. 역사적으로는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임시정부로써 독립운동이 활발히 전개된 역사 속 현장이기 때문이다. 올 해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이해서 과거 어느 때 보다 많은 한국인들이 상하이를 방문하였다. 지리상으로도 우리나라 공항에서 2시간 정도이면 도착할 수 있는 가까운 거리에 있어서 접근이 편리하다. 무엇보다도 상하이는 중국 경제 성장을 주도하는 세계에서 가장 다이내믹한 도시 중 하나로 국내 기업들이 많이 진출하였다.
이렇게 우리에게 친숙한 중국 상하이가 부산과는 자매도시이고 머지않아 30주년을 맞이하게 된다. 1992년 한중 수교 직후, 한국 정부는 자치단체들의 중국 도시와의 자매결연을 권장하였다. 그리고 1993년 8월, 부산과 상하이는 자매우호도시 협약을 체결하였다. 협약 체결 이후 부산과 상하이는 한중 양국의 제2도시이자 항구도시라는 공통점 아래 민관 분야 중심으로 교류 활동이 전개되었다. 민간에서는 2001년부터 양도시의 청소년 교류(홈스테이, 학교간 자매결연)를 시작으로 예술단 공연, 스포츠 교류 및 아동 우호 그림전 등을 통해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양도시는 관(官) 중심의 친선 행사 방문, 공무원 교류 방문, 무역 박람회 사절단 방문 등 행정교류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올 해에도 ‘부산시의회 – 상하이 인민대표대회’, ‘부산시 교육청 – 상하이 교육위원회’, ‘부산경찰청 – 상하이 공안국’ 등에서 교류협력이 추진되었다.
부산은 상하이와의 교류에서 민관 교류가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고 경제교류, 관광교류는 저조한 성과에 그치고 있다는 점에서 그동안 변화 요구가 꾸준히 제기되었다. 이와 함께 상하이와 중국의 높아진 국제적 위상, 경제 성장을 고려해서 부산은 교류협력 방향을 다시 설정해야 하는 시점에 있다. 따라서 지금부터는 부산의 중국 도시들과 교류협력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시작으로 향후 부산의 교류협력 방향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몇 해 전에 부산과 중국의 교류협력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본 적이 있다. 당시의 전문가들은 중국 관련 연구자 및 기업 관계자들로써 오랫동안 관련 업무에 종사한 사람들이였다. 이들은 부산이 중국과의 교류협력에 대한 적극적인 노력을 긍정적인 평가의 첫 번째로 언급 하였다. 한중 수교와 동시에 부산은 선제적으로 상하이와 자매결연을 맺고 상하이무역사무소를 설치하는 등 적극적으로 對중국 교류 및 협력에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그리고 상하이와 자매도시 결연 뿐만 아니라 중국의 다른 도시까지 우호협력도시를 확대해서 부산기업의 대중국 진출과 투자유치에도 노력하였다. 베이징, 텐진, 충칭까지 우호협력도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부산시 산하 기초자치단체들 차원에서도 중국 지방정부들과 자매결연을 체결하였다. 다음으로, 여전히 보완될 점이 많기는 하지만 초량에 ‘차이나타운’이 건설되어서 대외적으로 친중국 도시라는 이미지를 형성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1999년 차이나타운으로 지정하고 혼란스러운 거리를 정비와 함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유도하는 관광 명소로 탈바꿈했다. 마지막으로 부산은 중국인관광객 유치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는 점이였다. 중국인 관광객을 위한 관광 인프라 개선, 현지 수요조사 및 홍보마케팅 전개에 지속적인 노력을 해 오고 있다.
한편에서는 부정적 평가도 제기되었다. 첫째, 중국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연구가 부족하고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노력이 부족하다. 특히, 중국 전문가 집단 운용을 통한 상시적인 자문 및 조사연구도 부족하다. 중국시장이 광활하고 경영환경이 급변하기 때문에 체계적인 조사가 필수적이나 부산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둘째, 중국 관련 행사 및 정책이 일회성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지속적이지 못한 행사는 시민들의 관심에서도 멀어지고 실질적인 결과물을 기대하기도 어렵다. 셋째, 중국 관련해서 일관되고 체계적인 전략 수립 및 정책 추진이 부재되어 있다. 중국 관련 현안에 대한 각 부서들의 유기적인 협력 및 통합 관리가 부족하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것이 아니라 현안에 따라 부서별로 진행돼서 기대효과도 크지 않다. 무엇보다도 담당자들의 짧은 근무기간으로 향후 지속적인 업무 추진에도 장애가 된다. 중국 담당자는 계속 오랫동안 본연의 업무를 하지만 부산의 실무담당자는 해가 바뀌면 교체가 된다는 점이 문제로 제기되었다.
부산이 중국 도시들과 교류협력을 더욱 활성화 시키고 경제분야로 확대하기 위해서,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실현 가능한 개선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첫째, 상하이와 진전된 교류활동을 위해 학술교류를 시작하고 여기서 경제협력 모델 발굴을 시도해야 한다. 부산은 ‘상하이 – 타이페이 도시포럼’과 같이 민관이 함께 참여해서 상하이 시장 진입과 활용을 위한 전략 수립을 시작해야 한다. 상하이의 도시경쟁력과 위상은 과거에 비해 매우 높아졌다. 금융 분야만 보더라도 상하이와 부산의 격차는 매우 크다. 세계 주요 도시의 국제금융센터지수(GFCI : Global Financial Centres Index)에 따르면 상하이 5위, 부산 43위에 그치고 있다.
<표 1> 부산항과 세계 주요 항만의 컨테이너물동량 처리실적 추이
  • 주: 국제금융센터지수(GIFC)는 영국계 컨설팅업체 지엔(Z/Yen)그룹과 중국 싱크탱크인 중국종합개발연구원(CDI)이 도시별 국제금융 경쟁력(기업환경,인적자원,기간시설,금융산업 발전도, 명성)을 측정
    자료: 중앙일보(2019.9.21)
상하이는 글로벌 금융허브 도시 뿐만 아니라 글로벌 비즈니스(창업) 도시, 글로벌 패션(뷰티) 도시로도 주목 받고 있다. 연간 1,000회가 넘는 비즈니스 전시회가 개최되고 11월의 수입박람회 때는 상하이 시정부가 임시 휴무일로 지정해서 관공서 및 학교가 휴무에 들어간다. 올 해에는 150여 국가에서 3,000개 이상의 기업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1) 패션 및 뷰티 분야에서는 글로벌 기업들이 대거 상하이에 런칭 하였으며, 상하이 고객들의 소비성향을 적극 반영하고 있다.
둘째, 상하이 뿐만 아니라 주변 도시로까지 관심과 교류를 확대시켜 나아가야 한다. 상하이는 인구, 주택, 차량 등 과밀화와 임금, 임대료 인상 때문에 제조업 시설이 주변 도시로 이전하였다. 최근에는 주택난 속에 광역 고속철도와 도로가 획기적으로 발달하면서 거주지를 외곽 도시로 옮기고 있다. 쑤저우(苏州), 우시(无锡), 창저우(常州), 난통(南通), 자싱(嘉兴), 후저우(湖州), 항저우(杭州), 사오싱(绍兴), 닝보(宁波), 저우산(舟山) 등 10개 도시는 상하이 중심의 메갈로폴리스(Megalopolis) 구축이 가시화되고 있다. 상하이에 투자 진출했던 부산 기업들도 상하이를 떠나서 주변 도시로 이전했기 때문에 상하이와 직접적인 기업 교류도 사실상 어렵다.
셋째, 상하이가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에서 부산의 기회를 찾아야 한다. 중국 조선 총량의 약 60%가 장강삼각주에서 이루어지고 상하이가 중심지역이다. 세계적인 경쟁력의 상하이와이까오챠오조선(上海外高桥造船)를 중심으로 주변 16개 도시에서 조선업 및 조선기자재업이 성업 중에 있다. 또한, 상하이는 유망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노력하고 있으며 중국 최대의 스타트업 인큐베이터(상하이 텐센트 창업센터)가 있다. 마지막으로, 상하이는 중국의 패션, 뷰티를 견인하는 도시답게 글로벌 기업들이 진출해서 매년 많은 전시회가 열린다. 최근 인천 소재 코리아코스팩은 중국 산시헝종그룹과 3천만달러(360억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중국 기업이 한국 화장품의 기술력을 인정해서 투자를 결정한 것이다. 부산은 조선기자재업이 성업 중이고, 스타트업 인큐베이터가 발달한 도시이며 천혜의 뷰티산업 환경을 갖고 있다. 따라서 상하이와 같은 분야에서 교감하며 상호 발전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부산은 상하이와 많은 교류협력 프로그램을 진행 해 왔지만 시민들이 느끼는 만족도 및 인지도는 크지 않다. 관 중심의 행정교류에 편중되어 있어서 시민들의 참여기회가 적었고 일회성 프로그램으로 그쳤기 때문이다. 양도시가 긴밀한 협력 아래 교류 프로그램이 실질적인 성과에 이르도록 분명한 목표를 갖고 일관성 있게 추진하는 적극적인 모습을 기대한다.
  • 1) 2019 중국국제수입박람회(中国国际进口博览会) 보도자료(2019.10.22)

부산연구원 도시미래 연구본부 연구위원 장정재

페이스북 트위터 인쇄하기 링크복사하기